바이오제약공학과 졸업자격에 대한 일반적인 안내
- 바이오제약공학과에서 시행하는 졸업시험 또는 졸업논문을 통과한 학생에게 졸업자격을 부여한다.
- 졸업시험 또는 졸업논문 중 반드시 택일하고,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변경이 불가능하다.
- 학∙석사 연계과정의 학생은 졸업시험 및 졸업논문 면제이나, 3학년 2학기부터 지도교수님 실험실에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 졸업시험 및 졸업논문 일정
-
구분 |
내용 |
봄학기 졸업자(2월) |
가을학기 졸업자(8월) |
조기졸업 |
졸업
시험
|
졸업시험 |
졸업 학기 10월 |
졸업 학기 4월 |
졸업학기에 따라 시행함 |
1차 재시험 |
졸업 학기 11월 |
졸업 학기 5월 |
2차 재시험 |
졸업 학기 12월 |
졸업 학기 6월 |
졸업
논문
|
졸업논문 신청 |
3학년 2학기 9월 |
3학년 2학기 3월 |
해당사항
없음
|
졸업논문 주제 제출 |
3학년 2학기 10월 |
3학년 2학기 4월 |
졸업논문 발표 |
졸업 학기 11월 |
졸업 학기 5월 |
졸업시험에 대한 안내
졸업시험 교과목 (2017~2019년 입학자)
졸업시험과목 |
해당교과목 (전공필수교과목) |
1. 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분자면역학 |
2. 분자생물학 |
기초분자생물학, 고급분자생물학 중 택1 |
3. 유기화학 |
유기화학I, 유기화학II, 분석화학* |
졸업시험 교과목 (2020~2022년 입학자)
졸업시험과목 |
해당교과목 (전공필수교과목) |
1. 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 분자면역학 |
2. 분자생물학 |
분자유전학, 분자생물학 |
3. 유기화학 |
유기화학I, 유기화학II, 분석화학* |
졸업시험 교과목 (2023년 입학자부터)
졸업시험과목 |
해당교과목 (전공필수교과목) |
1. 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1, 세포생물학2, 유전학*, 동물세포배양*, 면역학* |
2. 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1. 분자생물학2, 세포신호전달*, 유전자재조합*, 바이오통계 |
3. 생화학 |
생화학1, 생화학2, 분석화학*, 인체생리학* |
졸업시험 필수교과목 이수에 대한 안내
- 졸업시험에 해당하는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고, ‘D0’ 이상의 학점을 취득한 자에게 응시자격을 부여한다.
- 전공필수 교과목은 반드시 바이오제약공학과에 개설된 교과목으로 이수하여야 한다.
(타학과에 개설된 과목 중 ‘바이오제약공학과 전공학점 인정과목’을 이수한 경우도 인정한다.)
- 전공 교육과정 변경으로 인하여 다음 교과목들을 이수하면 동일 교과목으로 인정한다.
-
교과목명(2025년) |
이전 교과목명(~2024년) |
교과목명(2025년) |
이전 교과목(~2024년) |
세포생물학1 |
기초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 |
세포생물학2 |
기초세포생물학, 세포생물학 |
유전학 |
분자유전학 |
면역학 |
분자면역학, 스마트분자면역학 |
분자생물학1 |
기초분자생물학, 분자생물학 |
분자생물학2 |
고급분자생물학, 분자생물학 |
유전자재조합 |
유전공학, 유전공학및실험 |
생화학2 |
생물화학, 스마트생물화학 |
생화학1 |
생물화학, 스마트생물화학 |
바이오통계 |
생물통계학 |
분석화학 |
약품분석화학및실험 |
인체생리학 |
동물생리학, 피부생리학 |
- 2025년 이전에 이수한 교과목들 중 위 테이블에 표시되지 않은 교과목의 필수교과목 인정 여부는 학과사무실을 통해 졸업시험 시행 이전에 학과장의 사전 확인을 받아야 한다.
- 졸업시험은 1차부터 무조건 응시하여야 하며, 1차 시험에 응시하지 않을 경우 최종 불합격 처리한다.
- 각 과목별 시험 성적이 70점 이상이면 합격이며, 과락이 있을 시 해당 과목의 재시험을 응시하여야 한다.
- 졸업시험 면제조건 취득 전까지 모든 시험에 응시하여야 하며, 응시하지 않을 경우 최종 불합격 처리한다.
- 졸업 해당학기에 전공필수 교과목을 수강 중일 경우 졸업시험 응시자격을 부여한다.
- 졸업시험 세부 일정 및 과목별 재시험 일자는 학과 교수님들의 내부 결정으로 공지한다.
- (편입학, 재입학, 복수전공, 전과, 소속변경) 전공필수 교과목을 대체할 수 있는 교과목을 이수하고 ‘D0’ 이상의 학점을 취득 시 해당 사항에 대하여 학과장의 사전 승인을 받고 졸업시험에 응시한다.
졸업시험 면제 안내
- 졸업시험과목의 해당교과목 모두 ‘A0’ 이상을 취득한 경우 시험을 면제한다.
(유전학*, 동물세포배양* 과 같이 * 표시된 교과목들은 학점과 관계없이 이수만 하면 된다.)
-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성적을 취득하면 졸업시험 과목 중 2개를 선택하여 면제할 수 있다.
-
영어시험 |
토익 |
뉴탭스 |
토플 |
IELTS |
토익스피킹 |
OPIc |
성적 |
800 |
310 |
91 |
7 |
140 |
IM3 |
- 전공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졸업시험과목 중 2개를 선택하여 면제할 수 있다.
예) 바이오화학제품제조기사 및 산업기사, 바이오기술투자분석사, 생물분류기사, 화학분석기사 및 기능사, 의료전자기능사, 기술지도사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실험동물기술원, 과학탐구지도사, 생명과학지도사, 융합과학지도사 등
- 취직을 하면 졸업시험과목 중 2개를 선택하여 면제할 수 있다.
(재직증명서 및 4대보험 가입증명서 제출, 아르바이트∙인턴∙소규모 개인사업장은 제외함)
- 대학원 진학 시 졸업시험과목 중 2개를 선택하여 면제할 수 있다. (대학원 입학 증명서류 제출)
- 졸업시험 면제요건(1번~5번)은 중복 적용되지 않는다.
- 자격증, 취업, 대학원 진학으로 인한 졸업시험 면제는 학과 교수님들의 내부 회의로 결정한다.
졸업논문에 대한 안내
- 졸업시험에 해당하는 3학년 2학기까지의 교과목을 모두 이수하고, ‘D0’ 이상의 학점을 취득한 자에게 졸업논문 자격을 부여한다.
(4학년에 진학하여 남은 필수교과목도 이수하여야 함)
- 졸업논문 주제는 지도교수님께 문의하여 결정하고, 해당 실험실에서 실험을 수행한다.
- 졸업논문을 선택한 학생은 지도교수님의 연구실험실에서 10개월 이상 실험을 수행한다.
- 논문형식은 실험 연구논문이며, 지도교수님의 지도에 따라 논문을 작성한다.
- 졸업논문 신청서는 지도교수님의 승인을 받은 후 3학년 2학기 둘째 주까지 제출하며, 졸업논문 당 최대 2인 이내로 제한한다.
- 3학년 2학기 넷째 주까지 논문 주제를 제출한다.
- 4학년 2학기 여덟째 주에 논문 발표를 진행하고, 졸업논문 심사위원회에서 졸업자격을 결정한다.
- 논문과 관련된 양식은 학과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하여 작성한다.
- 논문 제출 후 심사위원들이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최종적으로 수정 및 지도를 실시한다.
졸업시험에 대한 부칙
- 졸업을 위한 최소이수학점(교양, 전공)은 본인 입학 년도의 학업이수가이드에 나와있는 교육과정 이수 기준표의 안내에 따라 본인이 직접 확인한다.
- 바이오메디컬 전공진로탐색, 바이오메디컬 취창업세미나는 졸업을 위한 필수 이수 교과목에 해당한다. (이전 교과목: 바이오제약공학 전공진로탐색,
바이오제약공학 취업세미나)
- 1학년 학문기초 교과목인 일반생물학과 일반화학은 졸업을 위한 필수 이수 교과목에 해당한다.
- 1학년 전공과목인 바이오메디컬의이해와 바이오메디컬개론도 졸업을 위한 필수 이수 교과목에
해당한다. (2025학년 입학생부터 적용)
-
|
1학년 1학기 |
1학년 2학기 |
2학년 1학기 |
3학년 2학기 |
전공 |
바이오메디컬의이해 |
바이오메디컬개론 |
바이오메디컬
전공진로탐색
|
바이오메디컬
취창업세미나
|
학문기초 |
일반생물학 |
일반화학 |
|
|
- 생명신소재융합학부 바이오제약공학전공 입학생(2018~2021학번)의 경우 전공필수 교과목 외에도 반드시 이수해야하는 추가 교과목(학부 공통교과목 및 학과지정교과목)들을 확인하여 수강해야 한다.
(2022년 생명신소재융합학부 공통 교육과정 운영 중지 결정으로 인해 공통교과목 이수는 면제 처리됨)
- 본 규정은 2025년 1학기부터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