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해설
과목코드 | 과목명 | 내용 |
---|---|---|
BME10125 | 바이오메디컬의이해 Understanding of Biomedical |
바이오메디컬 분야를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한 입문 과정으로서, 바이오헬스산업 분야를 소개하고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의 현재와 미래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바이오헬스산업의 발전을 어떻게 이끌어왔는지에 대해서 이해한다. This lecture is an introductory course to acqui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biomedical. It introduces the bio-health industry and covers its current and future importance. We will learn how knowledge and technology in biomedical engineering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io-health industry. |
BME10225 | 바이오메디컬개론 Introduction to Biomedical |
화학 및 생물학의 지식을 바탕으로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주요 원리와 기초이론을 학습한다. 인류의 현재 및 미래를 위한 바이오메디컬 기술의 활용을 다룸으로써 인간생활에서의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학문적 가치를 이해한다. Based on knowledge of chemistry and biology, this course introduces major principles and basic theories in the field of biomedical. This lecture deal with the use of biomedical technology for the present and future of humanity and the academic value that the field of biomedical engineering has on human life. |
BME20125 | 세포생물학 1 Cell Biology 1 |
세포의 진화, 화학 및 연구방법에 대한 배경지식을 토대로 세포의 구성성분, 대사작용 등의 세포생물학의 기초 개념을 이해한다. 세포핵, 세포소기관, 세포골격, 원형질막, 세포외기질과 같은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학습을 통해 세포생물학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concepts of cell biology, such as cell composition and metabolism with background knowledge of cell evolution, chemistry, and research methods. This lecture helps student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ell biology by learning abou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cells, such as the nucleus, organelles, cytoskeleton, plasma membrane, and extracellular matrix. |
BME20225 | 세포생물학 2 Cell Biology 2 |
세포의 화학적 구성요소와 주요 세포 소기관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배양,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세포의 기능 분석, 유전자 발현 분석 등의 세포 연구기법과 세포 및 유전자 치료법, 줄기세포를 이용한 응용분야에 대해서 소개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chemical components of cells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major cellular organelles. Building on this, this class covers cell research techniques such as cell culture, cell morphological observation, functional analysis of cells, and gene expression analysis, as well as applications including cell and gene therapy and stem cells. |
BME20325 | 미생물학 Microbiology |
미생물의 특성과 기능, 생물계내의 위치 및 역할의 이해를 위하여 미생물의 종류, 구조 및 형태, 분류, 물질대사, 유전, 생태 등의 기초개념을 습득한다. 또한 이러한 지식들을 농업, 의약학, 환경 및 식품공업에 응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basic concepts such as types, structures, morphology, classification, metabolism, genetics, and ecology of microorganisms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and their location and role in the biosphere, and to apply them to agriculture, medicine, the environment, and the food industry. |
BME20425 | 유전학 Genetics |
염색체 수준에서 멘델의 유전법칙, 성결정, 연관, 염색체 변이, 유전자 지도 작성 등의 유전 원리를 이해하고, 분자 수준에서 유전자의 화학적 특성, 유전자의 복제 및 재조합, 유전자의 전사 및 발현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학습한다. This lecture provides basic knowledge on the principles of inheritance, such as Mendel's principles of genetics, sex determination, gene linkage, chromosome mutation, and genetic mapping at the chromosomal level,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genes, replication and recombination of genes, transcription and expression of genes at the molecular level. |
BME20525 | 바이오유기화학 1 Bioorganic Chemistry 1 |
생명체를 구성하는 유기화합물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지방족 및 방향족 탄화수소의 결합, 분자구조, 명명법, 화학적 성질, 반응 원리 및 입체화학의 특성에 대하여 학습한다. To understand the organic compounds composing living organisms, we will learn about bonding, molecular structure, nomenclature, chemical properties, reaction principles, and ster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liphatic and aromatic hydrocarbons. |
BME20625 | 바이오유기화학 2 Bioorganic Chemistry 2 |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유기화합물들의 특성과 원리에 대한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작용기를 가진 유기화합물의 특성, 종류 및 반응성과 합성 등을 다룬다. Based on basic knowledge of the properties and principles of organic compounds that make up living organisms, this lecture covers the properties, types, reactivity, and synthesis of organic compounds with functional groups. |
BME20825 | 분석화학 Analytical Chemistry |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활용되는 분석화학의 기본개념에 대해서 학습한다. 수집된 데이터처리를 위한 기본적인 통계적방법, 산/염기 및 산화-환원이론, 완충용액 및 완충작용, 화학평형, 산-염기적정, 생체물질의 정성 및 정량분석기술 및 전기화학의 기본원리에 대하여 학습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concepts of analytical chemistry used in biomedical engineering. It covers basic statistical methods for processing collected data, acid/base and redox theories, buffer solutions and buffering, chemical equilibrium, acid-base titrati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echniques for biological substances, and the basic principles of electrochemistry. |
BME20925 | 바이오기초실험 Bio-basic Experiment |
바이오메디컬 관련 전공자들이 입문과정에서 배워야 할 기초가 되는 실습과정을 진행한다. 실험 안전교육, 현미경 사용, 세포의 형태 및 기능의 이해, 생물계의 다양성 분석과 같은 실험 기초과정을 실습하고 관련된 경험과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킨다. This course will provide basic practical training that biomedical majors should learn in the introductory course. We can practice basic experimental courses such as experimental safety education, microscopy, understanding cell morphology and function, analyzing the diversity of the biological world, and improving related experiences and problem-solving skills. |
BME21025 | 바이오기기분석실험 Bio-equipment Analysis Experiment |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DNA, RNA, 단백질 등의 분석연구에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분석법의 기초이론과 분석기기의 종류와 특성, 분석기기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습득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basic principles of various instrumental analysis methods used in the analysis of DNA, RNA, proteins, etc. in the field of biomedical, as well a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nalysis equipment, and helps students acquire and understand analytical methods using analysis equipment. |
BME21125 | 바이오메디컬전공진로탐색 Career Search in Biomedical |
개인별 전공진로 결정을 돕기 위한 교과목으로서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자신의 적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전공과 관련된 진로 및 취업분야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게 함으로써 전공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내용은 자신의 적성 및 역량검사, 전공과 진로, 진로탐색, 취업전략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decide on their majors and analyze their aptitudes and the field of biomedical in detail. It motivates students to study the major by helping them identify career paths and employment fields related to the major. The main contents consist of aptitude and competency tests, major and career paths, career exploration, and employment strategies. |
BME30125 | 동물세포배양 Animal Cell Culture |
동물세포배양을 위한 기초지식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배양에 활용 및 응용하는 이론적 원리에 대해서 분석한다. 세포배양에 이용되는 장비, 배양 방법, 무균실험방법에 대해서 이해하고, 현대 세포배양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basic knowledge of animal cell culture and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theoretical principles that are utilized and applied in actual culture. It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equipment, culture procedures, and aseptic techniques used in cell culture, and addresses the importance of modern cell culture research. |
BME30225 | 면역학 Immunology |
면역시스템의 구성, 면역세포의 기능, 면역반응의 분자적 기작에 대해서 학습한다. 염증반응, 자가면역질환, 암 등의 질병 발생에 있어 면역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해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composition of the immune system, the functions of immune cells,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mmune responses. Based on this, we will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immune system in the development of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responses, autoimmune diseases, and cancer. |
BME30325 | 분자생물학 1 Molecular Biology 1 |
세포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이해를 통해 생물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해 알아본다. DNA, RNA, 단백질을 분자적 수준에서 분석하고, 유전자의 실험적 조작, DNA 복제 및 유전자 전사 조절기작에 대해서 학습한다. This course aims to explain how organisms function by understanding the various functions of cells at the molecular level. We will analyze DNA, RNA, and proteins at the molecular level, and learn about experimental manipulation of genes, DNA replication, and the mechanism of transcriptional regulation. |
BME30425 | 분자생물학 2 Molecular Biology 2 |
살아있는 생명체가 분자적 수준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대해서 학습한다. 분자생물학의 주요원리, 유전자 발현 조절 기작 및 분석 방법, 단백질 합성 기작 및 구조와 기능, DNA 재조합 등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분자생물학의 심화지식과 최신 연구동향을 다룬다. This course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living organisms function at the molecular level. It covers in-depth knowledge and cutting-edge research trends in molecular biology by understanding the main principles of molecular biology, gene expression control mechanisms and analysis methods, protein synthesis mechanisms and structures and function of proteins, and DNA recombination. |
BME30525 | 생화학 1 Biochemistry 1 |
생화학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 및 지질 등의 생체고분자의 화학적 구조와 성질 및 생물학적 기능을 다룬다. 생체물질의 분해 및 합성대사와 이에 따른 화학에너지의 전환, 그리고 유전정보의 저장 및 전달과정 등과 같은 생명과학 분야의 기초지식을 다루는 종합합문이다. Biochemistry deals with the chemical structure and properties of biomolecules such as proteins, nucleic acids, carbohydrates, and lipids that makeup living organisms, as well as their biological functions. It also covers basic knowledge in the field of life sciences, such as the decomposition and synthesis of biological substances, the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and the storage and transmission of genetic information. |
BME30625 | 생화학 2 Biochemistry 2 |
세포에서 진행되는 물질대사의 중요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대사작용에 의한 생체물질의 생합성과 분해, 대사의 조절기전, 화학에너지의 생성과정을 학습하며, 대사경로의 유전적 결함과 인간질병과의 관계를 이해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important fundamental principles of intracellular metabolism, covers the biosynthesis and degradation of biological substances through metabolic reactions, control mechanisms of metabolism, and chemical energy production processes, and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tic defects in metabolic pathways and human diseases. |
BME30725 | 인체생리학 Human Physiology |
인체를 구성하는 각 조직과 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학습한다.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인체의 물리적, 화학적인 생명현상을 각 계통별로 기능 및 조절 기전을 중심으로 생리적 측면에서 이해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tissue and organ that makes up the human body. It covers the physiological asp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life phenomena that sustain the vital activities of the human body, and focuses on the functions and control mechanisms of each system. |
BME30825 | 세포신호전달 Cell Signal Transduction |
세포 외부의 변화와 자극에 반응하여 세포의 분화와 성장, 대사 및 생리작용을 조절하는 세포내 신호전달체계에 대하여 논의한다. 구성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집중 논의될 것이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intracellular signaling system that regulates cell differentiation, growth, metabolism, and physiological functions in response to changes and stimuli outside the cell. The interaction between components of the signaling pathway will also be discussed in detail. |
BME30925 | 생화학실험 Biochemistry Experiment |
생화학의 기초이론을 토대로 하여 생명과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생화학의 실험기법과 생체물질의 분리 및 분석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실험기술을 습득한다. 단백질, 핵산, 탄수화물 및 지질을 정성 및 정량분석하기 위한 실험기법을 습득하고 효소활성 측정법을 실험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experimental techniques of biochemistry commonly performed in the field of life science based on the basic principles of biochemistry and helps students acquire experimental technique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s of separation and analysis of biological substances. This course covers experimental technique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proteins, nucleic acids, carbohydrates, and lipids, and experiments on measuring enzyme activity. |
BME31025 | 동물세포배양실험 Animal Cell Culture Experiment |
동물세포배양에 대한 기초지식 및 이론을 기반으로, 세포배양실 이용방법, 동물세포 배양을 위한 시약 및 기기의 준비, 세포배양 방법, 세포의 형태학적 관찰, 세포의 증식과 사멸 분석, 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및 단백질 수준의 분석방법 등에 대한 실험실습을 진행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basic knowledge and principles of animal cell culture, inculding how to use a cell culture room, how to prepare reagents and equipment required for animal cell culture, cell culture processes,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cells, analysis of cell proliferation and death, and analysis of intracellular gene and protein levels. |
BME31125 | 분자생물학실험 Molecular Biology Experiment |
분자생물학에 대한 기초지식을 기반으로 DNA와 RNA의 분리 및 전기영동, 클로닝 및 형질전환, 유전자 재조합, 유전자 발현 분석 등에 대한 실험실습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세포 내 분자들에 의한 생명현상을 분석할 수 있는 바이오메디컬 분야의 실무인재로서의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course is based on the basic knowledge of molecular biology and conducts experiments on DNA and RNA separation and electrophoresis, cloning and transformation, genetic recombination, and gene expression analysis. We can develope expertise as a practitioner in the biomedical field who can analyze life phenomena controlled by intracellular molecules. |
BME31225 | 바이오메디컬취창업세미나 Job seminar for BioMedical Engineering |
바이오메디컬학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취업 준비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취업 역량을 강화시키고 취업분위기를 조성해주고자 한다. 기업의 채용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주도적인 전략적 취업준비를 통해 성공적인 취업을 도모하도록 한다. This course aims to strengthen employment capabilities and stimulate motivation for employment by operating various job preparation programs for students majoring biomedical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ompany's hiring process and use it as a foundation for self-directed, strategic job preparation to achieve successful employment. |
BME31325 | 바이오메디컬현장실습 1 Biomedical Field Training 1 |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관련된 산업현장,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서의 실습을 통해 실무인재로서의 역량, 전문적 지식 및 정보, 산업현장의 기술을 습득하고 체험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acquire and experience the capabiliti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ies as practitioners through practical training in industrial sites,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biomedical engineering. |
BME31425 | 바이오메디컬현장실습 2 Biomedical Field Training 2 |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관련된 산업현장, 기업 또는 연구기관에서의 실습을 통해 실무인재로서의 역량, 전문적 지식 및 정보, 산업현장의 기술을 습득하고 체험한다.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acquire and experience the capabilities,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industrial technologies as practitioners through practical training in industrial sites, companies, or research institutes related to biomedical engineering. |
BME40125 | 바이오의약품공학 Biopharmaceutical Engineering |
분자생물학과 면역학의 지식 및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되는 바이오의약품의 종류, 작용기작, 생물학적 특성, 임상적용 등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여 바이오헬스 산업의 연구 및 제품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심화지식을 학습한다. This course introduces the types, mechanisms of action,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bio-pharmaceuticals produced using the knowledge and technology of molecular biology and immunology, and provides in-depth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research and product development in the biohealth industry. |
BME40225 | 마이크로바이옴 Microbiome |
최근 인체 미생물과 인간의 질병간의 연관성이 밝혀지면서, 미생물을 질병 예방이나 진단 및 치료 등의 맞춤의료에 활용하고자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강의는 마이크로바이옴의 정의, 구성 및 생리적 기능에 대해서 소개하고, 인간의 몸과 마이크로바이옴 간의 상호작용, 질병 치료를 위한 임상적 연구에 대해서 알아본다. Recently, as the connection between human microbes and disease has been discovered, microbiome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o utilize microbes in personalized medicine such as disease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This lecture introduces the defini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 microbiome, and learns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microbiome, and clinical research for disease treatment. |
BME40325 | 유전자재조합 Genetic Recombination |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을 기초로 재조합 DNA 기술, 유전자 조작, DNA 및 RNA 정제, 벡터구축, 형질전환, 유전자 분리 및 구조 분석 등의 기초이론을 학습한다. 더 나아가 첨단 유전체 분석기술, 유전자 발현 및 유용 단백질 생산기술 등 의료용 백신 개발 등의 응용이론도 학습한다. Based o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we learn the basic principles of recombinant DNA technology, genetic manipulation, DNA and RNA purification, vector construction, transformation, gene isol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Additionally, we study applications such as advanced genome analysis technology, gene expression, useful protein production technology, and medical vaccine development. |
BME40425 | 암생물학 Cancer Biology |
세포 및 분자 수준에서 암의 발생 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세포의 증식을 조절하는 네트워크를 분자적 수준에서 학습하고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형질전환되는 유전적 변화의 원인과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암유전자, 암억제 유전자, 암줄기세포, 암미세환경에 대해서 알아본다. 또한 암을 치료하기 위한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법, 암표적치료제 등 최신 연구 결과에 대해서 소개한다. This cours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ancer development process at the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We will learn about the network that controls cell proliferation at the molecular level, and the causes and mechanisms of genetic changes that transform normal cells into cancer cells, as well as related oncogenes, tumor suppressor genes, cancer stem cells, and the cancer microenvironment. It also introduces the latest research results on chemotherapy, radiotherapy, targeted cancer therapies. |
BME40525 | 바이오소재공학 Biomaterials Engineering |
동식물, 미생물, 해양자원 등 천연물에서 유래하는 생리활성물질의 화학적 분자구조와 기능성을 소개하고, 기능성 소재를 바이오산업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핵심 응용기술에 대하여 학습한다. 최근 의학 및 바이오분야에 소개된 유기/무기소재들을 살펴보고 바이오소재 생산 및 공정, 바이오소재의 다양한 활용분야에 대해서 학습한다. This lecture introduces the chemical structure and functionality of bioactive substances deriv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plants, animals, microorganisms, and marine resources, and teaches the core application technologies required to apply functional materials to the bio industry. In this lecture, we will introduce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that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into the medical and bio fields, and learn about the production and process of biomaterials, as well as various applications of biomaterials. |
BME40625 | 단백질공학 Protein Engineering |
단백질공학은 효소 및 항체 등의 단백질을 원하는 기능성 및 특성을 가지도록 단백질을 개량하는 기술적 영역에 대해 공부하는 학문이다. 단백질의 구조, 단백질 바이오인포매틱스, 단백질의 발현, 단백질의 분자진화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단백질공학 기술에 대해 공부하고자 한다. Protein engineering is a discipline that studies the technology to improve proteins such as enzymes and antibodies to have desired functions and properties. This course aims to study various protein engineering technologies including protein structure, protein bioinformatics, protein expression, and protein molecular evolution technology. |
BME40725 | 바이러스학 Virology |
바이러스학의 발전과정 및 역사, 바이러스 입자구조, 형태, 분류, 생활사에 관하여 학습하며 각 그룹에 속하는 대표적인 바이러스의 특징과 유전체 복제과정과 유전자 발현을 다룬다.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들의 특징 및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면역반응에 대해서 학습하고 바이러스 진단법, 항바이러스제, 백신 및 치료제 개발 등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This lecture covers the development and history of virology, virus particle structure, morphology, classification, and life cycle,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viruses in each group, the process of genome replication, and gene expression. In this lecture, we will learn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viruses that cause diseases in humans and the immune responses induced by viruses, and explore the development of virus diagnosis, antiviral drugs, vaccines, and therapeutics. |
BME40825 | 신경생물학 Neurobiology |
중추신경계와 말초 신경계의 구조와 개개의 구조를 이루는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세포분자 생물학의 개념으로 배운다. 신경세포들의 종류와 기능, 전기적 신호의 생성과 전달, 화학적 시냅스 전달과정의 메커니즘, 시냅스 가소성, 뇌의 구조와 기능, 감각과 운동 신경세포의 기능, 뇌의 신경세포들의 연결, 학습과 기억의 생성과 뇌 신경질환의 발생들을 살펴본다. In this lecture, we will learn about the structure of the central and peripheral nervous systems, and the functions of the cells and tissues that make up each structure, using the concepts of cell and molecular biology. This lecture examines the types and functions of nerve cells,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electrical signals, the mechanisms of chemical synaptic transmission, synaptic plasticity,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rain, the functions of sensory and motor neurons, the connections between nerve cells in the brain, the generation of learning and memory, and the occurrence of brain diseases. |
BME40925 | 바이오통계 Biostatistics |
바이오메디컬 분야에서 연구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학이 어떻게 이용되는지에 대해 강의한다. 생물학적 데이터의 확률분포, 통계적 추론의 개념, 회기 분석, 상관관계 분석, 통계적 실험 디자인의 개념을 이해하고 데이터에 적합한 통계 분석을 선택하여 R로 실습한다. This course covers how to use statistics to analyze research results in the biomedical field. In this lecture, we will learn the concepts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statistical inference,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atistical experimental design for biological data, and practice using R to select the appropriat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data. |
BPE41025 | 바이오메디컬캡스톤디자인 Biomedical Capstone Design |
체계적으로 습득한 전공지식을 기반으로 바이오헬스산업 분야의 기술적 흐름을 반영한 창의적인 캡스톤디자인 작품을 기획/설계/제작/분석한다. 질병 진단,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 기능성소재의 개발과 관련된 바이오헬스산업의 동향을 분석하고 정보 수집과 문헌조사를 수행한다. 제품설계를 위해 질병 선정, 병리기작 분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타깃 선정, 제품 개발을 위한 전략 구축, 이용할 수 있는 바이오기술 분석, 효율적 제품 개발 과정, 제품 생산 공정 등의 전반적 프로세스를 이해하도록 학생들의 창의적인 종합설계 활동을 지원한다. Based on systematically acquired expertise, we plan/design/produce/analyze creative capstone design works that reflect technological trends in the biohealth industry. We analyze trends in the biohealth industry related to disease diagnosis, and the development of biopharmaceuticals and biofunctional materials, and conduct information collection and literature research. We support students' creative comprehensive design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overall process, including disease selection for product design, pathological mechanism analysis, target selection for diagnosis or treatment, strategy establishment for product development, analysis of available biotechnology, efficient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production process. |
BPE41125 | 바이오메디컬연구세미나 1 Biomedical Seminar 1 |
학생은 학기 중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를 진행한다. During the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 in individual research projects and conduct experiments under the guidance of their advisors. They organize and analy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rite reports, and make presentations. |
BPE41225 | 바이오메디컬연구세미나 2 Biomedical Seminar 2 |
학생은 학기 중 지도교수의 지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실험을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를 진행한다. During the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 in individual research projects and conduct experiments under the guidance of their advisors. They organize and analyz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experiments, write reports, and make present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