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과목해설
과목코드 | 과목명 | 내용 |
---|---|---|
BUD 101 | 불교학의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Studies |
불교학을 전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외국어 학습 능력 배양의 필요성과 쳬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This course leads students to learn what is needed(eg. learning foreign languages such as Chinese). Students are introduced to prepare for Buddhist Studies. |
BUD 102 | 승가의례와의식 Rituals and Rites in Buddhist Sangha |
불교학을 수행자의 관점에서 보면, 교리공부와 수행 및 의례 분야로 나눌 수 있다. 의례란 수행자의 내면이 외적으로 표출하는 행위이다. 의례를 통하여 승가는 화합과 협력을 도모한다. 삼귀의, 예불, 독경, 염불, 기도 등 승가에서 필요한 의식을 학습한다. Rituals express dimensions of inner qualities of monks and nuns in the Buddhist community. Rituals help create community and mutual support and share our common values. Prospective monks and nuns are expected to learn and Practise types of Buddhist Rituals as follows: Going for Refuge, Offering Homage to the Buddha, Reciting Sutras, Remembering the Buddha, Prayers and so on. |
BUD 104 | 승가수행학 Theory of Practice for Buddhist Shanga |
종단의 3대 목적사업인 도제양성, 역경, 포교를 위한 학습이다. 승려로서 전문 소양인의 자질을 갖추어 전법교화 하기 위한 핵심적 교양교육의 과정이다. It is a special course for the members of the Sangha (Buddhist Community of monks and nuns)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It aims at enabling the students to critically understand the teachings of Buddhism and to promote the intellectual skills necessary for the propagation of Buddhism such as reading, writing and constructive thinking, etc. |
BUD 105 | 초기불전 Early Buddhist Texts |
초기불전은 붓다의 말씀을 전하고 있는 최고의 문헌이므로 붓다의 원음에 가장 근접하다. 불교의 기본 토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초기불전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붓다의 원음을 직접 접함으로써 붓다의 가르침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The early Buddhist texts which contain the teachings of the Buddha are the oldest text in Buddhism. To study the early Buddhist text is a foundation for the understanding of later developments of Buddhism, including Mahayana Buddhism. |
BUD 201 | 초기불교 Early Buddhism |
초기불교는 불교의 근본교설뿐 아니라 대승불교학의 기초학이라는 관점에서 먼저 아함경을 간단히 해제하고 불교흥기의 역사적 배경을 소개한다. 그리고 아함경에서 정선된 자료집에서 입각해서 ①업설 ②육육법 ③오온사제 ④십이연기의 사대법문의 체계적 교리구조를 밝혀본다. We look into the life ot the historical Buddha and his teachings. we focus on the main teachings such as Karma, Dependent Origination, Four Noble Truths. we discuss how the Buddhist community survive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
BUD 202 | 종교사 The History of Religions of the World |
원시종교를 비롯해서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샤머니즘, 한국 민속종교 등 체계와 우리나라의 다양한 종교전통들의 주요한 역사를 시대적 맥락에 따라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understanding of the main history of various religious traditions such as primitive religions, shamanism, folk religions of Korea as well as Buddhism, Christianity, Islam, confucianism, Taoism. |
BUD 203 | 인도불교사 History of Indian Buddhism |
초기불교에서 밀교에 이르기까지 인도불교의 역사 전반에 대해 개관한다. A general survey on the History of Indian Buddhism, from the age of early Buddhism to Buddhist Tantrism. |
BUD 204 | 중국불교사 연습 Exercise o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
불교의 중국 전래 이후 근대불교학의 탄생까지 중국불교사 전반에 대해 개관하면서 중요 시점에 번역되거나 저술된 한문 불전의 일부를 발췌하여 번역하고 해설한다. With a general surveying o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from the age of early transmission of Indian Buddhism to the age of modern Buddhist studies, we will translate and explain the meaning of some of Chinese Buddhist scriptures of each age. |
BUD 207 | 한문불전강독 Guided Reading Chinese Buddhist Texts |
한문으로 작성된 불교 문헌을 강독한다. 초기불교 경전인 아함경부터 대승불교 주요경전을 선별하여 시기별로 강독한다. 필요한 경우엔 관련 유교 서적 및 영어 번역도 참고한다. Students are expected to learn to read Buddhist texts in Chinese. Chinese Buddhist texts range from Agama in early Buddhism to major Mahayana texts. If necessary, Confucian texts and English translation relating to the Chinese Buddhist texts are to be compared. |
BUD 209 | 대승불교개론 Introduction to Mahayana Buddhism |
대승불교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대승불교의 발생 배경, 주요 학파, 주요 교리, 주요 경전 및 주석서 등을 이해한다. 대승불교 흥기 이전의 초기·부파 불교의 교리와 사상을 비교하여 대승불교의 이해를 깊게 한다. The course will deal with major aspects of Mahayana Buddhism lecturing on background of arising of Mahayana Buddhism major texts including commentarial literatures. Mahayana Buddhism is to be compared with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Buddhism. Major doctrines. such as idea of Bodhisattva will be explained. |
BUD 211 | 불교영어입문 Introduction to Buddhism in English |
불교영어를 기초 단계 수준에서 강의함, 주요 불교 용어를 영어로 표현하는 방식을 습득한다. Ons is expected to understand Buddhism in English. one can learn Buddhist technical terns in English. one can get new approach to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English. |
BUD 214 | 종전강독 Guided Reading Jogye Order's Main Texts |
대한불교조계종의 소의경전인 『금강경』과 「전등법어」를 읽고 풀이하면서 기본지식을 익히고 한문 독해 능력을 습득한다. 그리고 염불과 진언 등의 한문불전을 공부하고, 아울러 선불교의 정신을 중심에 놓고 교학연찬과 정토수행, 밀교수행까지 포괄하는 통불교의 정신을 이해한다. Students will learn basic knowledge while reading 『Diamond Sutra』 and 「jeondeungbeobeo」 and acquire reading ability. And study Buddhist scriptures, as well as the spirit of seon Buddhism. |
BUD 215 | 한국불교 Korean Buddhism |
한국의 불교는 그대로 민족사의 주요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그만큼 전래·정착·전개·변화 등 한국불교의 각 단계는 시대사와도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이들 모든 현상을 유기적 관점에서 파악함으로써 한국불교에 대한 일련의 역사적 체계를 정립시킬 수 있다. Korean Buddhism is distinguished from other traditions of Buddhism. A variety of information on Korean Buddhism is to be presented with pictures if possible. However, the focus will be on Jogye Order, the biggest Buddhist order in Korea. |
BUD 216 | 종교와과학 Religion and Science |
종교에 대한 과학적 설명이 가능할까? 갈릴레오의 지동설 재판이나 다윈의 진화론과 관련한 논쟁에서 보듯이 서구의 종교는 과학과 대립해 왔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이 찬탄하듯이 불교는 과학의 가르침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유일한 종교라고 평가된다. 본 강의에서는 과학과 대립해 온 서구 종교의 역사를 일별하면서 불교와 과학의 접점에 대해 모색한다. Is it possible to explain scientifically about religion? The western religion has struggled with science as we can see in the trial of Galileo or the arguments on Darwin's theory of evolution. But as Einstein has praised, Buddhism is regarded as the only religion that can be harmonized with science. In this lecture we will review the history of western religion that has conflicted with science, and we will try to find a point of contact between Buddhism and science. |
BUD 217 | 중국선종사 History of Chan School in China |
중국불교에서 생활종교를 확립한 선종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It is a course of history of Chan schools in China where the tradition had been developed. |
BUD 301 | 중관학 Mādhyamika Philosophy |
대승불교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용수의 공사상에 대해서 Mādhyamika Philosophy was created by Nāgārjuna who have been called as the father of Mahāyāna Buddhism. We will study on the Emptiness philosophy of Nāgārjuna based on his treatise Madhyamaka Kārikā. Then we will study on the background, birth and development of Mādhyamika Philosophy. At the end of this lecture we will study on Sān-lūn thought that was established in China after translating the Madhyamaka treatises. |
BUD 302 | 선수행론 The Way of Seon Practice |
이 강좌는 선 수행에 대한 이론적 과정으로서 선 수행의 목적과 원리를 고찰하고 선수행자가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It is a theoretical study about Seon practice in which what is the purpose and principle of Seon practice and how practitioners should approach the Seon practice. |
BUD 307 | 선어록강독 Guided Reading the Seon Records |
선 수행과 체험의 세계를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선사들의 어록 원전을 강독한다. It is a course of reading the Seon texts such as records of Seon Master's sayings. |
BUD 309 | 천태학 Tien-Tai Studies |
묘법연화경을 바탕으로 하여 최고의 실상론과 수행론을 구성한 천태학을, 팔만대장경의 분석론인 교판사상을 중심으로 강의하여 통불교적인 진리론과 수행체계를 공부한다. In Tiān-Tai treatises we can find not only it's ontology but also it's practice technique. It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teachings of Saddharma-puṇḍarīka Sūtra. We will study on Zhì-yǐ's holistic attitude and his critical classification of Buddhist doctrines. |
BUD 310 | 한국선사상사 History of Korean Seon Thoughts |
원시종교를 비롯해서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 유교, 샤머니즘, 한국 민속종교 등 체계와 우리나라의 다양한 종교전통들의 주요한 역사를 시대적 맥락에 따라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It is a course of the history of Korean Seon thoughts from its introduction to Silla to the present, including important thoughts of influential Seon Masters and developments of Seon Schools in Korea. |
BUD 311 | 불교인식론 Buddhist Epistemology |
불교교리의 전반적인 내용 중에서 유식적인 사상들을 종합 분석하여 이를 설명하고 더 나아가서 이것을 주관과 객관적인 입장에서 살피며, 일상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수행 등에 관하여 교육 및 숙지시킨다. In this lecture we will study on Vijñaptimātra thought. Vijñaptimātra thought is not only an Epistemology but also a theory of Mahāyāna practice. At first we will review the world view of Vijñaptimātra thought, and then introduce some important scriptures and treatises. Based on these studies we will compare the Vijñaptimātra thought with Western Philosophies. |
BUD 314 | 불교와심신의학 Buddhism and Psychosomatics |
뇌과학과 진화심리학, 진화의학의 최신 이론에 근거하여 불교를 풀이한다. Explain Buddhism based on recent theories of brain science, evolutionary psychology and evolutionary medicine. |
BUD 315 | 한국종교 Religions in Korea |
불교는 한국의 수많은 종교들 중의 하나이다. 불교학도는 이웃종교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또한 불자로서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할 경우 만나게 될 수많은 이웃종교인들에 대한 이해 역시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이웃종교에 대한 관심과 배려와 전략은 불교의 최대 이념인 자비를 위한 핵심역량 중의 핵심이다. 이 과목은 한국의 불자로서 한국의 이웃종교인들과 대화하고 그들에게 불교를 전하기 위한 기반적 요소가 될 것이다. Buddhism is one of the religions in Korea. Buddhist students are requested to exactly understand neighborhood religions. And after graduation for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elievers of neighborhood religions. Interest, consideration and strategy for neighborhood religions are the most important capability among all abilities for Maitri-Karuna which is the greatest ideology of Buddhism. This class must be the groundwork for the dialogue with neighborhood believers and to mission Buddhism to them. |
BUD 317 | 종교심리학 Psychology of Religion |
본 강좌는 종교현상을 심리학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울러 이와 관련된 이론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중심인물들의 사상과 역사를 학습하고, 종교현상의 심리학적 해석에 대한 불교적 관점의 이해를 학습한다. 그리고 종교현상의 심리학적 해석에 기반하여 그것을 개인 정서함양과 사회적으로 적용하는 방법론을 습득함으로써 개인의 정서함양은 물론 사회적 치유의 방법론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교과과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psychologically search the phenomena of religion. Also giving general description on related theory, we learn about central figures' ideology and history, and about Buddhist studies' point of view on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of phenomena of religion. This is the curriculum which prepares students to cultivate personal sentiment development but also to get ready to apply themselves with methodology of social treatment by acquiring methodology for using socially and personally based on psychological analysis of religion's phenomena. |
BUD 318 | 종교철학 Philosophy of Religion |
불교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웃종교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역시 요구된다. 또한 불자로서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할 경우 만나게 될 수많은 이웃종교인들에 대한 이해 역시 필수불가결의 요소이다. 이웃종교에 대한 관심과 배려와 전략은, 불교의 최대 이념인 자비를 위한 핵심역량 중의 핵심이다. 동시에 이 교과는 다문화, 다종교의 현실사회에서 종교차별문화차별·양성차별·빈부차별 등 다양한 사회적 차별의 장벽을 넘어서는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To fully understand Buddhist Studies, an accurate comprehension of neighbor religions is demanded. Especially, around the circumstance of stepping into the society after graduation as a Buddhist, the grasp about a number of neighbor religious people who might face with is also inevitable. The interest, consideration, and strategy on neighbor religion are points of core competencies for compassion which is the biggest principle of Buddhism. At the same time, this class will provide surpassing viewpoint of various social discrimination as religious descrimination, culture discrimination,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distinction of wealth and poverty etc. in this multi-cultural, multi-religious society. |
BUD 414 | 현대종교 Religions in Modern Society |
종교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사회적 슈퍼파워 중의 하나다. 불교학도들은 현대의 수많은 종교들, 토템과 주술부터 초현대 신종교들까지 다양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과목은 종교사 과목에서 학습했던 수많은 종교들 중에서 현대사회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기독교와 불교를 중심으로 핵심적 내용들을 비교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한다. 현대종교의 학습은 졸업 후 한국의 다종교 사회에서 다양한 종교적 문제들, 특히 한국사회에서 기독교가 야기하는 문제들, 점증하는 자살문제 등을 예방하고 해결해 나아갈 수 있는 핵심역량의 될 것이다. Religion is still one of the superpowers in modern society. Buddhist students are requested to multiply understand a lot of religions in modern society from totemism and magic to the new ultramodern religions. This class try to comparatively analyze and understand the main points of Buddhism and Christianity which have the biggest influence in modern society. The study of the religions in modern society must be the important capability to prevent and resolve a lot of religious problems which has been especially brought by Christianity and suicide in korea. |
BUD 319 | 불교학현장실습1 Internship of Buddhist StudiesⅠ |
이 강좌는 불교학의 현장에서 신행과 행정 및 포교 등의 직접적인 현장을 경험하여, 불교신행의 직접적인 체험을 얻고, 이를 통해 불교학에 대한 좀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는 수업이다. Foster curriculum of business capabilities by directly associated with a major in social work practice Buddhist Order or Temples involved in Buddhist Studies. |
BUD 402 | 불교윤리학 Buddhist Eticis |
불교적 윤리 규범인 재가자의 5계 및 8계, 10선계의 의미와 범계의 과보에 대해 공부하고, 아울러 승가의 규범인 율장의 계목과 그 취지에 대해서도 연구함으로써 불교 윤리와 도덕의 의미와 취지에 대해서 학습한다. We study about the meaning of 5, 8 and 10 kinds of Buddhist precepts, and the results of violation of these precepts. It is also a course of Buddhist ethics or morality in which students should study Vinaya scriptures, the texts of traditional Buddhist precepts for monks. |
BUD 409 | 화엄학 Avatamsaka Studies |
이 강좌는 화엄경을 중심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독립적인 종파로서 형성 발전한 바의 대승불교 역사와 문화를 돌아보며 선종과의 관련을 공부하도록 함. It is a course of studying Avatamsaka-sutra and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is Mahayana doctrine and tradition which has developed as an independent Buddhist school in China and Korea. |
BUD 407 | 불교원전언어 Languages for Studying Buddhist Original Texts |
범어 문법의 이해와 독해를 중심으로 교육하되, 빠알리어와 티벳어 등 한문 이외의 원전 언어에 대한 기초지식을 제공한다. It focuse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Sanskrit, and provides basic knowledge on non-Chinese native languages such as Pāli and Tibetan. |
BUD 411 | 불교상담심리학 Buddhist Counselling and Psychology |
과학의 발달과 지식의 배가로 말미암아 현실과 괴리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를 불교적인 관점에서 지도·상담하여 올바른 이성을 가지고 생활하게 한다. 자신의 내면을 성찰하고 인격 향상을 도모한다. The relevance of Buddhism to the field of psychology and counseling is lectured. The value and utility of teachings and approaches found in Buddhism is to be set in the context of psycho-therapy and counselling. It also aims to look into one’s mind to develop one’s personality. |
BUD 422 | 선문학특강 Topics on Seon literature |
선전(禪典) 및 선어록(禪語錄)을 중심으로 선문학의 내용을 살펴보고 선의 개념과 전통 형성의 역사 및 문화의 발전과정을 인도로부터 중국과 한국에 걸쳐 개괄적으로 이해하도록 한다. This course provides the students with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ore thoughts of Seon Buddhism.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he intellectual skills necessary for reflective capability through the teachings of Buddhist Scriptures and Analects, so that they can apply the skillful methods to the Seon-practice and the Bodhisattva Path in order to achieve the wisdom, loving kindness and compassion. |
BUD 416 | 불교학현장실습2 Internship of Buddhist StudiesⅡ |
이 강좌는 불교학의 현장에서 신행과 행정 및 포교 등의 직접적인 현장을 경험하여, 불교신행의 직접적인 체험을 얻고, 이를 통해 불교학에 대한 좀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는 수업이다. Foster curriculum of business capabilities by directly associated with a major in social work practice Buddhist Order or Temples involved in Buddhist Studies. |
BUD 417 | 불교학현장실습3 Internship of Buddhist StudiesⅢ |
이 강좌는 불교학의 현장에서 신행과 행정 및 포교 등의 직접적인 현장을 경험하여, 불교신행의 직접적인 체험을 얻고, 이를 통해 불교학에 대한 좀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는 수업이다. Foster curriculum of business capabilities by directly associated with a major in social work practice Buddhist Order or Temples involved in Buddhist Studies. |
BUD 418 | 불교학현장실습4 Internship of Buddhist StudiesⅣ |
이 강좌는 불교학의 현장에서 신행과 행정 및 포교 등의 직접적인 현장을 경험하여, 불교신행의 직접적인 체험을 얻고, 이를 통해 불교학에 대한 좀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는 수업이다. Foster curriculum of business capabilities by directly associated with a major in social work practice Buddhist Order or Temples involved in Buddhist Studies. |
ERC 301 | 종교교육론 Educational Theory of Religion |
종교활동의 상당부분은 교육 활동이다. 이 과목은 종교교육의 성격과 본질 그리고 구체적 종교교육의 내용과 실제를 정해진 교과과정에 따라 탐구한다. 이 과목은 결국 학교현장에서의 실습을 위한 수업이다. Much of religious activity is educational. This course explores the nature and nature of religious education and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specific religiou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established curriculum. This course is eventually a lesson for practicing at school. |
ERC 302 | 종교교재연구및지도법 Methodology of Research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Way of Instruction of Religion |
종교교사는 첫째 종교 교재를 구체적으로 파악 해야 하고, 둘째 새로운 교재를 개발하고. 셋째 새로운 지도방법을 고안 하며. 넷째 그것을 실제로 학생들에게 적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과목은 네가지 활동을 교재를 활용하고 학교현장실습을 대비한 수업동영상 분석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습한다. Religious teachers must first identify religious texts in detail, secondly develop new textbooks, Third, devising new teaching methods. Fourth, it should actually be applicable to student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practice the four activities using textbooks and analyzing classroom videos prepared for field practice. |
ERC 307 | 종교논리 및 논술 Logic and Writing of Religion |
종교적 실재는 논리를 초월한다. 그러나 그 초월적 실재도 논리에 의지해 표현된다. 따라서 모든 종교적 활동은 논리적으로 표현 혹은 진술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과목은 초월적 실재의 논리적 진술에 관한 탐구이다. Religious reality transcends logic. But the transcendental reality is also expressed in logic. Therefore, all religious activities should be expressed or stated logically. Actually, this course is a study for a logical statement of transcendental reality. |